본문 바로가기
KBS 드라마 촬영지

여행을대신해드립니다 촬영지: 여름의고향 화도섬 홍성죽도여행 둘레길

by 드라마플레이스 2025. 9. 1.
반응형

채널A 토일드라마 〈여행을 대신해 드립니다〉를 보신 분들이라면,

여름(극 중 인물)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장면이 마음에 남으셨을 거예요.

이번에는 드라마 속 ‘여름의 고향’으로 등장한 화도섬,

실제 촬영지인 충남 홍성의 죽도를 소개해 보려 합니다.


 죽도 위치정보

 

네이버 지도

죽도

map.naver.com

 

드라마에서는 남쪽 외딴섬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사실 촬영지는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죽도입니다.
여름이 목포행 버스를 타는 장면에서는 홍성 광천버스터미널이 나오고,

결정적으로 남당항에서 죽도로 향하는 여객선 ‘홍주호’가 화면에 잡히면서 섬의 정체가 드러났죠.

남당항에서 배를 타고 단 10분이면 도착할 수 있는 작은 어촌 섬 죽도는,

드라마 덕분에 더 많은 이들이 찾는 힐링 여행지가 되었습니다.


죽도의 매력 포인트

죽도는 현재 29가구가 거주하는 조용한 섬이지만, 지금은 관광객들로 북적이는 인기 명소예요.

 푸른 대나무 숲길
섬 전체를 감싸는 대나무 숲은 바람이 불 때마다 서걱거리는 소리가 마음을 편안하게 합니다. 마치 동남아 휴양지에 온 듯한 기분을 주기도 해요.

 에메랄드빛 바다
죽도 앞바다는 바다색이 유난히 곱기로 유명합니다. 맑은 날이면 바다가 녹색·청록·파랑이 겹겹이 펼쳐져, 사진만 찍어도 작품이 되죠.

 전망대와 역사 스토리
전망대 데크길에서는 청산리전투의 김좌진 장군과 만해 한용운 선생의 기념 공간도 만날 수 있습니다. 자연과 역사 이야기가 함께하는 독특한 경험이죠.

 죽도 세 끼
이곳의 하이라이트는 단순한 식사가 아닌 ‘죽도 세끼’ 프로그램입니다. 주민들과 여행자가 함께 밥상을 나누며 교감할 수 있는 체험으로, 많은 이들의 호응을 얻고 있어요.


죽도 여행, 이렇게 즐기면 좋아요

  • 여행 코스
    남당항(배) → 죽도 본섬 → 용난듬벙 → 제1·2·3 조망대 → 대나무숲 탐방로 → 담장벽화 → 선착장 쉼터 → 남당항(배)
  • 소요 시간
    당일치기 코스로 5~6시간이면 충분합니다. 배편은 평일에도 꽉 찰 만큼 인기가 많으니 사전 확인은 필수!

작은 섬에서 느끼는 큰 울림

드라마 속 여름처럼 “성공하기 전엔 돌아오지 않겠다” 다짐한 이들에게 죽도는 단순한 여행지가 아니라, 잠시 멈춰 서서 삶을 돌아보게 하는 공간일지도 모릅니다.

아담하지만 따뜻한 섬, 홍성 죽도. 이번 주말엔 바람과 파도, 그리고 사람 냄새 가득한 진짜 여름의 고향으로 떠나보는 건 어떨까요?

"이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카카오톡 , SNS, 트위터, 커뮤니티, 네이버 오픈톡,
나무위키등에 공유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

※포스팅에 사용된 방송 캡처화면의 이미지와 출처,저작권은  
해당 방송사에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또한 본 게시물은 순수한 개인적 방송리뷰콘텐츠 입니다.
드라마 촬영지 정보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수정 사항이나 추가 정보 알려 주시면 정정 하겠습니다

 

무쇠소녀단2 6화 촬영지:제주 오름 트레일러닝 대회 여기 어디야?

무쇠소녀단2 6화에서 촬영된 '제주 오름 트레일러닝 대회'의 실제 코스는 따라비오름과 큰사슴이오름을 오르내리는 트레일이었습니다.제주 오름 트레일러닝주 코스는 따라비오름과 큰사슴이오

dramaplace.bkbro.kr

 

 

폭군의 셰프 1화 촬영지:연희군과 지영이가 함께 떨어진 절벽바위 여기 어디야?

tvN 토일 드라마 의 1화, 2화에서 이헌이 활에 맞아 지영과 함께 추락하는 절벽 장면의 실제 촬영지인 경주 오봉산 마당바위를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폭군의 셰프 바로 보기오봉산 마당바위 위

dramaplace.bkbro.kr

 

 

마이 유스 촬영지 : 송중기가 운영하는 꽃집 입춘, 여기 어디야?

첫사랑을 다시 만난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요?JTBC 새 드라마 는 한때 아프고 치열했던 청춘의 순간을 간직한 첫사랑과의 재회를 통해,잊고 있던 ‘나’를 되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립니다.특히 극

dramaplace.bkbro.kr

 

 

반응형